물때표 보는 방법 완전 정복|쉽게 배우는 조수 간만의 법칙과 활용 팁

바다로 나갈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조수 간만의 차, 즉 물때의 시기와 높이입니다.

물때는 하루에도 몇 번 바닷물의 높이가 오르내리는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뜻하며,

어종과 낚시 포인트 선택해수욕·보트 이용 안전방파제 작업 일정해안산책·갯벌 체험 시기 등 다양한 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기본적인 조수 간만의 개념부터 물때표 보는 방법까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글의 요약

  • 물때표는 조수간만 시점(만조·간조)과 해수면 높이를 시간대별로 정리한 표입니다.
  • 음력(月·朔望)과 달의 위치가 물때를 결정하며, 만조 시각과 간조 시각은 달·태양의 인력과 지구 자전 영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 낚시는 물이 오를 때(만조 전후), 갯벌 체험은 물이 빠질 때(간조 전후)에 적합합니다.
  • 물때표 보는 법
    1. 날짜와 음력·만조 간조 시각 확인
    2. 조위(해수면 높이)를 기준으로 물이 얼마나 오르내리는지 확인
    3. 고조·저조의 높이 차(조차) 계산
    4. 음력주기별 물때 패턴 파악(대조기·소조기)
    5. 예보된 물때를 바탕으로 활동 계획 세우기

물때와 조수간만의 과학 원리

물때와 조수간만의 과학 원리

물때는 지구-달-태양 사이의 만유인력과 이로 인한 조석력(tidal force)에 의해 생깁니다.

  • 만조(high tide): 해수면이 가장 높아지는 시간
  • 간조(low tide): 해수면이 가장 낮아지는 시간
  • 조차: 만조 높이와 간조 높이의 차이로, 낮으면 ‘소조’, 높으면 ‘대조’라고 합니다.

그리고 하루에 2회씩 만조와 간조가 각각 한 번씩, 총 4번 물때 변화가 발생합니다.

음력 초승(그믐과 보름)에는 달과 태양이 일직선에 놓이므로 인력이 더 강해져 대조가 발생하고,

조차가 1.5–2배 이상 커집니다.

반면 그믐과 보름 중간 달(상현·하현)일 때는 인력이 약해져 조차가 작아지는 소조기가 됩니다.


물때표 보는 방법 단계별 설명

물때표 보는 방법 단계별 설명

1. 날짜와 장소 선택

먼저 여러 명이 제공하는 물때표 앱 또는 관측소 공식 조석표 중에서 원하는 날짜와 활동 장소를 선택합니다.

(예: 부산 기장, 인천 구월, 제주 대포항 등)

2. 만조·간조 시각 확인하기

표에서 ‘고조(H)’, ‘저조(L)’ 등으로 표기된 시각을 체크합니다.

  • 예: 고조 07:13 150cm, 저조 12:20 20cm
  • 따라서
    • 07:13경부터 물이 빠지기 시작,
    • 12:20경에 가장 낮고,
    • 18:45 전후에 다시 물이 차오릅니다.

3. 조위 해석하기

조위는 cm 단위로 표기되며 낮은 값은 간조 시에 갯벌이 넓게 드러나고, 높은 값은 만조 시 해안 접근이 용이합니다.

  • 예: 조차가 150cm 이상이면 대조기,
  • 80cm 이하면 소조기로 간주합니다.

4. 음력과 달의 위치 고려

음력 보름이나 그믐일(정월대보름, 동지·하지 즈음)에는 달과 태양이 정렬되어 조차가 극대화됩니다. 상현·하현일(음력 7 ~ 8일, 22 ~ 23일)은 반대로 소조 시기입니다.

5. 실전 활용

  • 조업·낚시: 일반적으로 만조 직전과 이후 1~2시간이 가장 입질이 좋으며, 갯바위 포인트 판단 시 해수 침식 위험 고려
  • 갯벌 체험·조개 캐기간조 시간대 중심 1~2시간 물이 빠진 상태일 때 안전하고 넓은 체험장 형성
  • 보트 정박·항만 작업: 최소 만조 높이+예상 흘수 고려하여 정박 심도 확보, 물 빠질 때 접안 충돌 위험 고정비 식별

물때표 이해 시 주의해야 할 팁

물때표 이해 시 주의해야 할 팁

▶ 시간대별 날씨 파악

풍속·풍향의 변화에 따라 물결·파고가 예상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물때표와 함께 해양예보도 확인하세요.

▶ 현지 특이 조석

호수·내만·하구부처럼 외해와 유속이 차이가 큰 지형에서는 조석형이 약간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지자체의 조석표를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PC와 스마트폰 이용 팁

  • 카카오맵, Tides4Fishing, Windy, NOAA Tide Predictions 등의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 지역명, 날짜, 음력 표시 기능이 있는 앱을 활용하면 미리 계획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실전 사례를 통한 물때표 활용법

실전 사례를 통한 물때표 활용법

🐟 낚시족 A씨의 하루

  • 오전 05:20 저조, 09:45 고조, 15:10 저조, 21:30 고조
  • A씨는 고조 직전 오전 09시부터 2시간저조 직후 오후 15시부터 탁 트인 조망 포인트에서 채비하며 최고 입질을 경험

🏖 가족 나들이 B씨

  • 제주 서귀포 간만 차 120cm, 고조는 낮은 편
  • 오전 11시 저조를 기준으로 간조 1시간 전후 체험, 오후 1시에 해변에서 수영과 비치 정리

⛵ 보트 정박 C씨

  • 대조기 시기, 간조가 -50cm 예상
  • 최소 2m의 흘수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 선택

이처럼 물때표를 참고한 전략적 일정 계획은 바다나 갯벌 위에서의 시간 활용과 안전을 극대화합니다.


물때표 활용 시 체크리스트

물때표 활용 시 체크리스트

항목설명
날짜특정 달(음력날짜 포함) 또는 절기
장소관측소 해안별, 입구 기준 여부
조위만조·간조 높이 및 조차 해석
조석 시각만조/간조 시각 사전 확인
음력 정보대조/소조기 판단
기상 예보바람·강수·파고 간략 확인
활동 목적낚시, 조개잡이, 보트 등 목적에 맞춘 계획
안전 요소파도, 해류, 상주 인명 △ 방지

Q&A

물때표랑 날씨표 중 어떤 걸 먼저 봐야 하나요?

우선 물때표를 기준으로 시각과 높이를 확인하고, 이어서 날씨 예보(바람·파고·강수)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둘 중 한 가지를 무시하면 활동 중 사고 위험이 커집니다.

낚시할 때 입질 좋을 때는 언제인가요?

주로 만조 직전과 직후 1~2시간이 물 흐름이 활발해 어류 활동이 왕성합니다. 특히 조차가 일정 수준 이상인 시기(대조기)에는 물 흐름이 빨라 입질이 활발합니다.

갯벌 체험은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간조 시간대 중심 1시간 전후가 가장 안전하고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돌아오는 물의 속도도 예측 가능해 안전합니다.

스마트폰 앱으로 언제 사용할 수 있나요?

언제나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사전 계획 시 하루·1주일·한 달 단위 예보를 앱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조기 vs 소조기 차이는 무엇인가요?

대조기: 음력 보름·그믐이 가까울 때, 조차 높아 호황 입질 표시 등 변화가 큼
소조기: 상현·하현 즈음, 조차 작아 변화 적고 물의 흐름이 안정적 → 각각 낚시, 갯벌, 보트 등 활동 목적에 따라 활용 시기가 달라집니다.


참고 자료


이 포스트는 “물때표 보는 방법”에 대한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가이드입니다.

낚시, 해양활동, 갯벌 체험 시 시간과 높이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안전하게 준비해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그는 각종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며, 모든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